한지. 韓紙/소개하기.

7. 우리나라 종이, 한지의 우수성 (역사채널e)

꽃뿌니 2020. 3. 15. 01:08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에 봤던 EBS 역사채널e 봤던 한지에 관련된 영상과 함께
우리나라 종이, 한지의 우수성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인류는 역사를 기록할 수 있는 역사 이전의 시대(선사시대)와 역사를 기록하는 역사의 시대로 나누어집니다.
종이가 없던 선사시대에 돌에 벽화를 새기며 자신의 기록을 남겼고,
종이와 붓 그리고 글자가 발명되면서 역사를 기록할 수 있는 '역사'가 시작된 것입니다.

 

 

한지의 내구성은 역사를 기록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 기록문화유산 보유국 세계 5위, 아시아 1위입니다.
우리나라를 '기록의 나라'로 만든 일등공신은 한지입니다. 한지는 내구성이 뛰어나 천년의 시간도 버틸 수가 있어요. 

 

 

한지는 6~7세기 삼국시대부터 독자적인 방식으로 제조, 사용된 우리 고유의 종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목판 인쇄물인 국보 126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예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751년 신라의 종이라는 것이 고증되면서 천년이 넘어서도 현존한는 한지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신라의 종이는 하얗고 반질반질한 종이라는 뜻에서 '백추지'라고 불리며 당나라와 일본에 수출되었고,
신라보다 더 발전된 고려의 종이는 송나라에서 누에고치로 만들어졌다고 잘못 알려질 정도로 우수했습니다.

우수한 품질의 종이는 우리 나라의 역사에서 교역의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조지소를 설치하고 각종 간행물과 서적들을 출판하였으며
한지의 수요가 늘자 지역마다 종이 기술자들이 배치되었고,
조선에는 200여종이 넘는 다양한 한지가 생산되었습니다.

한지의 주원료인 닥나무 껍질을 벗겨 잿물에 삶고 두드리고
섬유를 건져올려 짜고 말리고 다듬고 다리는 99번의 제작과정을 거쳐
질긴 내구성을 가지고, 보온과 통풍에 우수하며 미생물 번식을 막아 보관성이 우수한 한지가 완성됩니다.

(예전에 짧게 올린 한지 만드는 과정 글인데 함께 참고해주세요!!)

 

3. 한지 만드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 한지 제작 과정

3. 한지 만드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 한지 제작 과정 안녕하세요. 어제 한지 만드는 과정을 포스팅 하려고 그랬는데, 블로그 글을 쓰고 처음으로 글을 날렸어요 ㅠㅠㅠ 너무 맘이 아프네요 ㅠㅠ 다 쓰고 사진 하..

only-flower.tistory.com

 

하지만 조선후기 여러 번의 전란으로
조지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한지 예부터 소량으로 생산해오던 사찰에서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과중한 부역이 사찰로 넘어가자
한지를 제작하는 스님들이 도망을 가거나 닥나무를 베어버리는 일들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고종 때 양지가 유입되고, 일제강점기 일본의 종이가 수입되면서 한지의 사용은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지천년紙千年 견오백絹五百
비단의 수명은 오백 년을 가지만 한지의 수명은 천 년을 간다.


한지는 지금도 세계가 인정하는 우수한 종이입니다.

한지를 현미경으로 확대해보면
른 종이들과 다르게 종이의 섬유가 견고하게 얽혀 '우물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naver.me/5mpniFtf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의 으뜸 '전통 한지'의 우수성)

또한 2015년 성 요한 23세 교황의 애장품인 지구본을 복원할 때에
한지가 지구본의 복원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얼마 전 마스크 대란 때
마스크에 붙이는 한지 필터로 사기를 쳤다는 뉴스를 보고
화가 나서 한지의 우수성을 찾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에 이렇게 뛰어난 우리나라의 종이, 한지를 이용해 사기를 치다니!!! 정말 나쁜 사기꾼이예요!!

 

이번 포스팅은 EBS 역사채널e의 내용을 열심히 정리해서 올려보았는데
영상이 조금 더 이해하기 쉬운거 같아 영상 링크를 함께 올립니다!!

다들 꼭꼭꼭 한번씩 봐주세요~!!
5분밖에 안되는 짧은 영상이예요~

 

역사채널e - 우리의 종이, 한지

'지천년 견오백' 비단의 수명은 오백 년을 가지만 한지의 수명은 천 년을 간다. 천년의 수명인 우리의 종이 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www.ebs.co.kr

 

한지는 지금도 세계에서 인정받는 종이이지만 점점 한지의 수요가 줄고있어 안타깝기도 합니다.
그리고 200여 종류의 한지가 있었다는 조선시대의 한지가 궁금하기도 해요.

다함께 한지에 더욱 관심을 갖고 한지를 지키고 발전시켜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