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7

10. 한국 어문 규정에 대하여/어문규정 자료받기/국립국어원 - 한글날 맞이!! 10. 한글날 맞이 - 한국 어문 규정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573돌을 맞이한 한글날이예요. 오늘은 한글날을 기념해 한국 어문 규범에 대하여 정리하겠습니다. 어문규범이란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적인 기준을 말합니다. 어문규정은 왜 필요할까요? 예를 들어 곡식이나 풀을 벨때 쓰는 도구인 '낫'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저기 있는 낫을 가져와라'라고 문장을 쓸 때 누군가는 '저기 있는 낮을 가져와라'라고 쓰거나 누군가는 '저기 있는 낟을 가져와라'라고 쓰거나 또 누군가는 '저기 있는 낱을 가져와라'라고 쓴다면 의사소통에 많은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또 감자를 무시, 갱개, 감재라고 서로 다르게 부른다면 같은 '감자'를 말하며서도 말이 통하지 않을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언어생활을 할때 의사소.. 2019. 10. 8.
9. '양'과 '량', '난'과 '란' 표기 구분하기. 9. '양'과 '량', '난'과 '란' 표기 구분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렵지 않은 가벼운 맞춤법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국어는 공부할수록 참 어려운 과목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하지만 오늘 정리하는 내용은 아~주 쉬운 내용이라 쉽게 이해하실거라 생각해요.오늘은 언제 '양'을 쓰고 또 언제 '량'을 써야 하는지, 그리고 언제 '난을 써야 하고, 언제 '란'을 써야 하는지를 공부해보려 합니다.예를 들어 비, 눈, 안개가 내린 총량을 말할 때는 '강수량'이라고 써야 하는데 구름의 양의 말할 때는 '구름양'이라고 써야해요. 또한 '투고란' 이라고 쓰지만 '가십난'이라고도 써요.어떤 경우에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아래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앞 말에 고유어나 외래어가 왔을 때 : '난', '양' 으로 표.. 2019. 9. 28.
8. '베다'와 '배다'의 의미구분 8. '베다'와 '배다'의 의미구분 옷에 땀이 (배다/베다). 욕이 입에 (배었다/베었다). 판소리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배어/베어) 있다. 아이를 (배다/베다). 우리집 소는 새끼를 (배고 있다/베고 있다). 계단을 오르니 다리에 알이 (뱄다/벴다). 면도하다가 면도칼로 살을 (배었다/베었다). 전쟁에서 장수는 적을 목을 단칼에 (배어 버렸다/베어 버렸다). 낫으로 벼를 (배다/베다). 사괴를 한입 (배어 물었다/베어 물었다). (배게/베개)를 (배다/베다). 어머니 무릎을 (배고/베고) 누웠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헷갈리는 단어 '베다'와 '배다'를 정리해보겠습니다.'베다'와 '배다'는 모음 'ㅐ'와 'ㅔ'의 차이로 다른 단어가 되었어요. 거기에다 뜻이 한 가지가 아니라서 많이 쓰는 단어이면서도 헷.. 2019. 9. 26.
7. 자음과 모음 ② - 자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7. 자음과 모음 ② - 자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음의 의미와 종류에 대하여 정리하겠습니다.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 모음의 의미와 종류를 정리했어요. 이전 포스팅과 함께 보시면 좋을 것 같아 아래 링크를 올렸어요. 함께 읽어주세요! 6. 자음과 모음 ① - 모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6. 자음과 모음 ① - 모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국어의 기본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음을 정리하고, 그 다음 포스팅에서는 자음을 정리하겠습니다... only-flower.tistory.com 자음 :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해 구강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따위의 장애를 받으며 나는 소리. 자음은 소리를 낼 때 발음기관에 의해.. 2019. 9. 25.
6. 자음과 모음 ① - 모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6. 자음과 모음 ① - 모음의 의미와 종류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국어의 기본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음을 정리하고, 그 다음 포스팅에서는 자음을 정리하겠습니다. 음운 : 언어에서 말의 뜻을 구분해주는 가장 작은 단위 자음과 모음을 정리하기 전에 음운의 개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음운은 언어에서 말의 뜻을 구분해주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음운은 음성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어요. 음성은 사람들이 말할 때 사용하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를 의미하며, 음운은 그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 추상적인 말소리입니다. 음성은 쓸 수 없지만, 음운은 ‘ㄱ, ㄴ, ㄷ, A, B, C 등’과 같이 사람들이 보고 인식할 수 있으며, ‘ㄱ’과 ‘ㄴ’이 다른 음운이라는.. 2019. 9. 23.
4. 언어의 역사성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의미변화 4. 언어의 역사성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의미변화 안녕하세요.오늘은 언어의 특징 중에 하나인 역사성과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어의 의미변화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언어의 역사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언어는 새롭게 생기기도 하고, 그 의미가 변하기도 하고, 그 의미가 사라지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이예요.이러한 언어의 역사성 때문에 국어도 시간에 따라 의미가 변합니다. 중세국어에 있던 단어가 현대국어에서 그 의미가 변하기도 하고, 새롭게 생기기도 하고, 아예 사라지기도 합니다. 언어의 역사성 :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 생기기도 하고, 소리나 의미가 변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중세국어의 어휘와 현대국어의 어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바뀌었는지 정리하.. 2019. 9. 21.
3. <니 내 누군지 아니?> - '지' 띄어쓰기 정리 3. - '지' 띄어쓰기 정리 오늘은 의존명사 '지'와 어미 '-ㄴ지'의 구분하고 띄어쓰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지'는 의미에 따라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어미로 쓰이기도 해요.'누가 내 과자를 먹은지 모르겠다.'라는 문장을 쓸 때는 '지'가 어미로 쓰였기 때문에 '먹은지'처럼 앞말과 붙여써야 해요. 그리고 '과자를 다 먹은 지 오래다.'라는 문장에서는 '지'가 의존명사로 쓰였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써야 해요. '지'는 문장에서 의미에 따라 의존명사와 어미로 구분돼요. 의존명사 ‘지’ : 시간의 경과ex) 그녀가 떠난 지, 저녁을 먹은 지 어미 ‘-ㄴ지’ : 막연한 의미, 추측ex) 집이 큰지 작은지 모르겠다. (막연한 추측) 그가 얼마나 부지런한지 세 사람 몫의 일을 해낸다. 의존명사 '지'는 '시간의.. 2019. 9. 13.
반응형